분류 전체보기 110

Docker Registry 설치 방법

Docker Registry란?Docker Image를 저장하는 곳이다. 대표적인 docker registry가 도커에서 공식 지원하는 도커 허브다. 만약에 나만의 이미지를 만들어서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하고 싶다면 도커 허브에 올리면 된다. 하지만, 제한된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하고 싶다면, docker registry를 직접 구축하는 것이 좋다. 도커 허브에서도 private 하게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기는 하지만, 무료 계정에서는 단 1개만 저장할 수 있고 그 이상의 private한 이미지를 저장하려면 돈을 지불해야 한다. 가장 간단하게 docker registry를 구축하는 방법부터 시작해서 각 상황에 맞는 설치 방법을 하나씩 살펴보려고 한다.가장 간단한 방법1. registry 컨테이너를 생성..

카테고리 없음 2025.07.31

Ping과 ICMP

Ping이란? I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호스트(컴퓨터)가지 연결 가능한지를 테스트하는 네트워크 관리 도구동작 방식PC A가 PC B에게 ping을 전송한다고 하자. 1) ping 요청을 위해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사용한다. 2) PC A가 PC B에게 ICMP echo request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ping 요청을 보낸 시간이 함께 기록됨)3) PC B가 PC A의 요청을 받고 ICMP echo reply 패킷을 PC A에게 전송한다. 즉, A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낸 것이다. 4) PC A는 응답 패킷을 받은 현재 시간과 2)에서 요청을 보냈던 시간을 비교해서 차이값(=왕복시간, Round-Trip Time; RTT)을 계산해서 출력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5.07.24

apt와 snap에 대해

패키지 관리란? 리눅스에서는 다양한 SW와 프로그램들이 '패키지(package)'라는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패키지'는 프로그램 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설정 파일 등을 포함한다. 패키지 관리는 앞서 말한 '패키지'의 설치, 업데이트, 설정, 삭제 등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고 단순화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장점1. 편리함: 복잡한 설치 과정을 자동화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sudo apt install [프로그램] 처럼 간단한 명령 하나로 복잡한 설치 과정을 끝낼 수 있으며, 삭제 시에도 관련 파일들을 깔끔하게 삭제 가능, 뿐만 아니라 최선 버전 업데이트까지 sudo apt upgrade와 같은 간단한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다. 2. 안정성: 검증된 패키지를 설치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7.16

웹훅(webhook)에 대해

기본 개념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미리 설정된 URL로 자동으로 HTTP 요청을 보내는 기능. 동작 방식웹훅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작동한다.이벤트 설정: 웹훅을 설정할 때, 특정 이벤트를 트리거로 지정한다.URL 지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를 보낼 URL을 설정한다. 이 URL은 데이터를 수신할 서버의 엔드포인트이다.HTTP 요청 전송: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웹훅은 자동으로 지정된 URL로 HTTP API 요청을 전송한다. 서버에서 처리: 수신 서버는 이 HTTP 요청을 받아서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ex) GitHub에서 코드를 push한 경우GitHub에서 코드를 push한 이벤트 발생 ⇒ 해당 이벤트를 트리거로 지정했다고 하자.사전에 지정한 URL을 A.com이라 하겠다.A.com..

카테고리 없음 2025.07.12

Wifi 2.4GHz, 5GHz 차이점

주파수&파장주파수는 무엇일까. 주파수란, 1초 동안 전파가 일정하게 진동하는 횟수를 뜻한다. 단위는 Hz, MHz, GHz 등이 쓰인다. 1Hz = 초당 1회 진동 // 1MHz = 초당 100만회 진동 // 1GHz = 초당 10억회 진동파장은 주파수의 1회 진동 주기를 뜻한다. 때문에 주파수 대역이 낮으면 파장이 길고, 높으면 파장이 짧다. 다시 한 번 정리하면- 주파수 대역이 낮으면 : 덜 진동하니까 그래프가 완만하다 = 파장이 길다- 주파수 대역이 높으면 : 더 많이 진동하니 그래프의 경사가 급해진다. = 파장이 짧다. 회절성여기서 '회절성'이라는 특징이 중요한데 '회절성'이란 전파가 주변 장애물을 뚫고 통과하는 성질이라고 할 수 있다. - 파장이 길면 = 회절성이 높아진다. = 장애물을 잘 통과..

카테고리 없음 2025.07.02

허브와 스위치

스위칭허브라는 기기가 있다. 어쩔 때는 이 단어를 '허브', '스위치'라는 이름과 혼용한다. 알고보니, "허브"라는 기기와 "스위치"라는 기기는 완전히 동일한 의미를 가진 건 아니었다. 허브란? 네트워크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나 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3대의 PC가 있고 1개의 허브가 있다고 하자. 이때, 3대의 PC의 LAN 선을 허브에 있는 포트에 모두 꽂았다면 3대의 PC는 이제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여기에 허브에 있는 다른 하나의 포트를 네트워크 라우터와 연결했다면 이제 3대의 PC는 인터넷까지 사용할 수 있다. 특징허브는 특정 장치에서 데이터를 받으면, 그 데이터를 어느 장치로 보내야 하는지 판단하지 못한다.왜냐하면, 허브는 자신에게 연결된 컴퓨터의 MAC ..

카테고리 없음 2025.06.19

NAS에 대해

NAS란? 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용 파일 저장 장치로 여러 사용자와 장치가 중앙에서 데이터를 접근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NAS의 장점유연성: 로컬 액세스 뿐만 아니라 Wi-Fi 연결로 원격 액세스를 설정하여 서로 다른 기기와 인력이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클라이언트(ex. UNIX, Windows 등)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즉, NAS와 동일한 인터넷망을 사용하고 있는 기기들은 private한 클라우드를 하나 가졌다고 볼 수 있다.확장성 : NAS 노드는 추가 하드 디스크나 더 큰 하드 디스크로 스토리지 용량을 쉽게 확장할 수 있다.데이터 보안 : NAS 시스템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내장형 ..

카테고리 없음 2025.06.18

오프라인 상태의 PC의 commit 내역들을 github에 push 하는 방법

.git 폴더란?Git이 코드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폴더때문에, 서로 다른 위치에 동일한 .git 폴더가 존재한다면 각각의 위치에서 git commit의 기록이 동일한 걸 확인할 수 있다.상황ex) 오프라인 상태의 PC를 A / 온라인 상태의 PC를 B라고 하자이 상황에서 A에 있는 git commit 내역을 github에 업로드하려고 한다. 과정A PC에 있는 .git 폴더를 압축한다. 압축 파일 형식은 상관없다. .git 폴더를 손쉽게 가져오기 위해서 압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압축'이 아닌 다른 방식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A PC에 있는 .git 폴더를 B PC에 온전히 옮길 수만 있으면 된다.A PC에 있는 .git 폴더를 압축한 파일을 B PC에 옮긴다.B PC에서 해당..

카테고리 없음 2025.05.19

ifconfig 명령어

ifconfig 명령어란?ifconfig는 interface configuration의 줄임말로, 커널에 내장된(kernel-residen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명령어는 부팅 시 필요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며, 그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디버깅이나 시스템 튜닝이 필요할 때만 사용된다. 이처럼 ifconfig는 네트워크 목록을 확인하는 것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데도 사용되는 명령어이기도 하다. 이번 글에서는 ifconfig를 통해 출력되는 내용이 어떤 내용인지 정리하려고 한다.옵션 없이 ifconfig만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결과각 요소들의 의미와 예시 내용을 함께 살펴보겠다.enp5s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 flags : 네트워크 카드의 상태..

카테고리 없음 2025.05.11

컨테이너 내부 파일 ⇔ 로컬 PC 파일 복사 (docker cp)

docker cp 컨테이너와 로컬 PC 사이에서 파일 또는 폴더를 복사하는 명령어 사용법 docker cp [OPTIONS] CONTAINER:SRC_PATH DEST_PATH|- docker cp [OPTIONS] SRC_PATH|- CONTAINER:DEST_PATH 정리하면 docker cp [OPTION] 저장할파일또는폴더 저장위치예시 ex1) 로컬 파일(./some_file_in_loca)을 컨테이너의 work 폴더에 복사 docker cp ./some_file_in_local CONTAINER:/workex2) 컨테이너에 있는 /var/logs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을 로컬 PC의 /tmp/app_logs 폴더에 복사 docker cp CONTAINER:/var/logs/ /tmp/app_lo..

Docker 2023.10.11